본문 바로가기
kt aivle

kt aivle 3기 [14주차] - 가상화클라우드

by mizuiro 2023. 6. 26.

 

1. 수업 내용

가상화 클라우드

가상화란? :

1. 가상화의 필요

물리적인 시스템이 점점 늘이나면서 관리를 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데스크톱을 가상화 하기 시작함

 

2. 가상화 도입 효과

비용 및 탄소배출 절감

 

3. 가상화의 종류

- 클라이언트 하이퍼바이저 : 시스템에서 다수 운영체제를 동시 실행 가능하도록 하는 논리 플랫폼

* 물리적 리소스 공유 : 모든 리소스르 가상 리소스에서 가져와 사용

* CPU 리소스 공유 : CPU만 할당받아 사용

- 서버 하이퍼바이저 

- 가상 인프라 : 가상 이더넷과 가상 스위치를  하이퍼바이저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제공

- 클라우드

PC 데이터를 PC 가 아닌 서버 또는 중앙 PC 에 저장하는 것

=> 인터넷을 통해 IT 리소스를 원할 때 사용하고 사용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클라우트 컴퓨팅)

* 퍼블릭 클라우드 : AWS, Azure, GCP, KT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

* 프라이빗 클라우드 : 기업이 직접 환경 구축하여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것

 

4. 클라우드 이점

- 초기 선 투자 불필요

-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 탄력적인 운영 및 확장 가능

 

AWS 기본 서비스 알기 :

1. EC2 : 

aws 내에서 구성하는 virtual Machine

새로운 서버를 만들기 위한 가상 서버 서비스이자 컴퓨팅 리소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컴퓨팅 용량을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인스턴스 제공

사용한 만큼 과금을 내는 가상 서비스

2. VPC :

Virtual Private Cloud =>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의 네트워크 환경이자 통신을 위한 기본 네트워크 설정

3. EBS : 

AWS 에서 제공하는 Block Storage 서비스이며 사용이 쉽고 확장 가능한 고성능 서비스로써 EC2 용으로 설계

4. S3 : 

Simple Storage Service 의 약자이며 Aws에서 제공하는 Object Storage 서비스이다.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 저장할수 있는 객체이다.

 

2. 강의 후기

가상화 클라우드 수업을 들으면서 정말 중요한 내용을 많이 다룬다고 생각이 들었다. 네트워크에 대해서나 Subnet Mask 등 기초 네트워크 지식에 대해 많이 배울 수 있었다.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 수업을 하면서 AWS를 직접 켜서 같이 보여주면서 하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이론을 설명해도 나중에 직접 AWS를 사용할 때 어떤 것인지 거의 잊어버릴 것 같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