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18 linux 명령어 - 파일내용 확인출력 파일을 만들고 확인하고 출력하는 것에는 다양한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명령어들을 서로 비교하고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at 명령어 cat [파일이름] 을 사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cat [파일이름] [파일이름]으로 사용할시 연속으로 두 파일의 내용을 출력합니다. cat > [파일이름] 으로 할 시 파일을 새로 생성 할 수도 있습니다. 2. more 명령어 more [파일이름]으로 긴 파일을 읽을 때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는 위에서 아래로만 이동 할 수 있습니다. 3. less 명령어 less [파일이름]으로 이것 또한 긴 파일을 읽을 때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는 위에서 아래, 아래에서 위로 이동이 가능하며 화살표, Page Up, Page Down 키를 사용할 수 있.. 2019. 3. 25. linux 명령어 - 디스크 관리 디스크를 관리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df 명령어 (disk free) 리눅스 시스템 전체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각 목록은 [파일] [디스크 크기] [사용량] [여유공간] [사용률] [마운트 지점] 순으로 나타납니다. 2. du 명령어 (disk usage) du는 현재 디렉토리나 특정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19. 3. 25. linux 명령어 - 기타 이번에는 실용적인 것이 아닌 기타적인 명령어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tree 명령어 tree는 그 디렉토리의 전체 파일과 디렉토리의 연결관계를 볼 수 있습니다. 2. whoami 명령어 지금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의 id를 가르쳐 줍니다. 3. cal 명령어 지금 접속사의 날짜가 포함되어 있는 달력을 보여줍니다. 4. file 명령어 특정한 파일의 속성에 대해 보여줍니다. 5. date 명령어 현재 접속자의 날짜를 알려줍니다. 6. man 명령어 알고 싶은 명령어의 사용법을 알려줍니다. man [알고 싶은 명령어]로 입력하면 명령어에 대한 사용법이 나옵니다. q - 나가기 위,아래,화살표,엔터 키 - 한줄씩 넘기기 Page Up, Page Down, 스페이스 바 - 한페이지씩 넘기기 2019. 3. 25. linux 명령어 - 명령어위치 찾기 명령어의 위치를 찾는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1. which 명령어 명령어를 사용하고 있는 실제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2. whereis 명령어 명령어의 위치, 소스, 매뉴얼의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2019. 3. 25. linux 명령어 - 복사, 이동, 제거, 찾기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이동, 제거, 찾기 관련 명령어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1. cp 명령어 (copy) cp 뒤에 복사할 파일과 생성되는 파일의 이름을 적으면 파일이 생성됩니다. t.txt -> 복사하는 파일 t1.txt -> 생성되는 파일 만약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에는 cp -r 복사하는 디렉토리/ 생성되는 디렉토리 2. mv 명령어 (move) mv 뒤에 이동할 파일과 이동된 파일의 이름을 적으면 파일이 이동합니다. t.txt -> 이동할 파일 y.txt -> 이동된 파일 디렉토리를 이동할때에는 mv 이동할 디렉토리/ 이동된 디렉토리 3. rm 명령어 (remove) rm 삭제할 파일 을 적어주면 파일이 삭제가 됩니다. 디렉토리를 삭제할 경우 rm -r 삭제할 디렉토리 4. find 명령어 f.. 2019. 3. 25. linux 명령어 - 디렉토리 정리 디렉토리 생성과 삭제하는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mkdir 명령어 (make directiory) mkdir 뒤에 디렉토리의 이름을 붙이면 디렉토리가 형성됩니다. 2. rmdir 명령어 (remove empty directory) rmdir 뒤에 빈 디렉토리의 이름을 붙이면 그 디렉토리가 삭제됩니다. 이때 만약 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하고 싶으면 rm -r 을 사용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2019. 3. 24. linux 명령어 - 디렉토리 이동관련 + clear 이번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에 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전에 출력된 화면을 지우는 명령어에 대해 언급할려고 합니다. clear clear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이때까지 출력하였던 내용을 지우고 빈 화면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절대경로 vs 상대경로 디렉토리 명령어로 들아가기전에 디렉토리 경로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경로(path)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절대경로와 상대경로로 두가지는 조금 다릅니다. 절대 경로 : root(루트)로 출발하는 경로 상대 경로 : root(루트)로 출발하지 않는 경로(현재 위치에서의 경로) 절대 경로는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가 어디든지 절대 경로로 그 디렉토리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 상대 경로는 현재 위치에서만 사용할.. 2019. 3. 24. linux 명령어 - ls(디렉토리 내용 출력) Linux에서의 directory에 있는 내용들을 확인 할 수 있는 ls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ls 실행 명령어 ls를 입력하게 되면 현재 있는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을 출력합니다. 2. ls 명령어 옵션 명령어 옵션 내용 -a (all)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까지 전부 보여준다 -l (long) 자세한 내용을 출력한다 -S (size) 파일 크기 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한다 -s (size) 파일의 크기를 같이 출력한다 -r (reverse) 거꾸로 출력한다 -R (recursive) 하위 디렉토리까지 출력한다 -h (human) K,M,G 단위를 사용하여 파일 크기를 사람이 보기 좋게 출력한다 (다른 것과 함께 사용할 때) -lu l이 시간을 출력할때 수정시간(mtime)을 출력하는.. 2019. 3. 24. linux 명령어 - 로그아웃 Linux에는 여러가지 명령어가 있는데 오늘은 그중에서 Linux에서의 종료 명령어에 대해 알아 보려고 합니다 Linux를 켤때에는 로그인하는 것 하나뿐이지만 종료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입니다. 단 이때 로그아웃은 일반 사용자도 가능하지만 종료하는 것은 root(루트)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만 할 수 있습니다. 1. 리눅스 로그아웃 logout exit ctrl +d logout exit ctrl +d Linux 로그인 되어있는 실행창에서 ctrl +d를 누르면 로그아웃이 됩니다. 2. 리눅스 재부팅 재부팅을 할때에는 사용자의 권한이 root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할 수 없습니다. reboot shutdown reboot 리눅스를 재부팅 합니다. shutdown 리눅스를 조금 더.. 2019. 3. 2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