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Virtual host(가상 호스트) 세팅 및 wordpress 세팅

by mizuiro 2019. 5. 6.

가상 호스트란 물리적인 서버에서 여러개의 계정을 만들어 웹사이트를 서비스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계정 추가

# adduser [추가할 계정 이름]
#cd /home

위의 디렉토리에 들어가면 새로운 계정이 생긴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새로 생긴 계정에 su로 들어가서 html 디렉토리를 만들어 준 후 html파일을 만들어 줍니다.

그 안에 간단한 html 내용을 작성하고 저장합니다.

다시 root로 돌아옵니다

# cd /etc/apache2/sites-available

위의 주소로 이동한후 000-default.conf를 새로만든 계정.com.conf로 복사합니다.

# cp 000-default.conf 새로만든계정.com.conf

그런다음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a2ensite 새로만든계정.com

계정을 활성화 시켜준후 apache를 reload시켜 줍니다.

#service apache2 reload

이제 인터넷에서 이 사이트로 접속 할 수 있도록 hosts파일을 수정해 줍니다.

# vi /etc/hosts 

그런 다음 

#vi /etc/apache2/apache2.conf

위의 파일로 들어가서 

추가 하여 준 뒤에 apache를 재시작 합니다.

# service apache2 restart

이제 인터넷에 설정하였던 도메인을 치면 각 계정에서 설정했던 html파일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wordpress 설치

ordpress를 저장할 데이터 공간을 만들어 줍니다.

mysql로 들어갑니다.

mysql -u root
create database [만들고 싶은 데이터베이스 이름];

grant all privileges on [데이터베이스 이름].* to '계정이름'@'호스트 이름(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이렇게 설정을 하여 줍니다.

그런 다음 wordpress를 설치하여 줍니다.

www.wordpress.org로 들어가서 워드 프레스 얻기로 들어갑니다.

위의 그림의 Download.tar.gz를 링크 주소 복사하여 줍니다.

우분투에서는 tar.gz를 압축 파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생성한 계정으로 다시 들어갑니다.

$ cd html

위의 장소에

$ wget 복사한 링크 

그런 다음 압축을 해제합니다.

이제 웹브라우저로 가서 다음의 주소로 이동합니다.

http://도메인/wordpress

위의 주소로 들어가면 이러한 것이 뜨게 되고

시작하면 자신이 정한 데이터베이스이름과 mysql에서 정한 내용들을 입력하여 줍니다. 

테이블 접두어는 변경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러한 파일이 나오면 계정의 wordpress 파일 안에 다음의 내용을 생성합니다.

그 다음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하면 생성이 완료됩니다.